Chapter Content
아,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음… 뭐랄까, 좀 재밌는 얘기를 해볼까 해요. 그러니까, 뭔가 딱 정해진 길 없이, 막막한 상황에서도 호기심을 잃지 않고, 척척 해낼 수 있는 그런 도구 상자 같은 거? 그런 걸 한번 같이 알아볼까 합니다. 마치 과학자처럼, 여러분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또 어떻게 맞춰서 사용할 수 있을지 한번 생각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일단, 제일 먼저, 지금 여러분의 상황에 딱 맞는 질문을 한번 골라보세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아니면 "어떻게 꾸준히 계속해 나갈 수 있을까?", "다음에 뭘 해야 할까?", 혹은 "누구와 함께 성장해 나갈 수 있을까?" 뭐, 이런 질문들이 있겠죠.
자, 질문을 골랐으면, 이제 그 질문에 맞는 도구를 꺼내 쓰는 거예요. 어… 이전에 저희가 쭉 이야기해왔던 그런 도구들이요.
먼저, ‘Pact’, 그러니까 ‘약속’인데요. 호기심을 갖기로 스스로 약속하는 거죠. 실험적인 마음가짐을 갖도록 도와주는 세 가지 사고방식 전환도 있고요. 그리고 ‘Field Notes’를 활용해서 인지적인 틀, 그러니까 고정관념 같은 것에 도전해 보는 거죠. 또, ‘Pact’를 활용해서 작고 반복적인 실험을 설계해 보는 것도 좋고요.
그 다음은 ‘Act’, 그러니까 ‘실행’ 단계인데요. ‘Kairos Ritual’을 통해서, 어… 뭔가 마법 같은 순간을 열어보는 거예요. 그리고 ‘Triple Check’를 통해서 미루는 습관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보는 거죠. 또, ‘Ambition Dials’를 활용해서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것을 깨닫는 것도 중요하고요.
자, 이제 ‘React’, 그러니까 ‘반응’ 단계입니다. ‘Plus Minus Next’를 활용해서 메타인지 성장 루프를 만들고, ‘Steering Sheet’를 통해서 의사 결정의 폭을 넓히고, ‘Two-Step Reset’을 통해서 예상치 못한 어려움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거죠.
마지막으로 ‘Impact’, 그러니까 ‘영향’ 단계인데요. ‘Curiosity Circle’을 통해서 사회적인 흐름을 타고, ‘Public Pillars’를 통해서 공개적으로 배우고, ‘Five Keys’를 통해서 생산적인 일을 하는 겁니다.
아, 그리고, 이 도구 상자를 인쇄해서 편하게 볼 수 있도록 준비해 뒀어요. 필요하신 분들은 링크를 통해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https://nesslabs.com/toolkit. 음… 그럼, 여러분의 삶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오늘은 여기까지 할게요. 다음에 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