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Content

Calculating...

음,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의 사회적 기반, 그러니까 인간관계를 점검하고, 앞으로 어떻게 개선해 나가면 좋을지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해요. 음... "관계 지도"라는 건데요. 들어보셨어요?

이건 "The Good Life"라는 책에서 소개된 내용을 살짝 응용한 건데, 아주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이거든요. 자, 그럼 세 단계를 거쳐서 관계 지도를 만들어볼까요?

첫 번째 단계는요, 여러분 삶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관계들을 쭉 나열해 보는 거예요. 가족, 친구, 연인, 직장 동료... 뭐든 좋아요. 보통 열 명에서 열다섯 명 정도가 나오겠지만, 많으면 스물다섯 명까지도 나올 수 있겠죠? 음... 누구를 넣을지 곰곰이 생각해 보세요.

두 번째 단계는, 그렇게 나열한 관계 하나하나를 평가하는 거예요. 두 가지 질문을 던져보는 거죠. "이 관계는 나에게 얼마나 지지적인가? 아니면, 양가적인가? 깎아내리는 관계인가?" 그리고 "이 관계는 얼마나 자주 소통하는가? 빈번한가, 아니면 드문가?" 이렇게요.

여기서 중요한 용어들을 좀 짚고 넘어갈게요. 지지적인 관계라는 건, 서로를 아끼고 사랑하고 존중하고 위로하는 그런 관계를 말하는 거겠죠? 반면에 깎아내리는 관계는 그런 긍정적인 요소들이 전혀 없고, 오히려 자존감을 떨어뜨리는 행동이 자주 나타나는 관계를 의미하고요.

자, 근데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요, 깎아내리는 관계보다 양가적인 관계가 우리 정신 건강에 훨씬 더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는 거예요! 양가적인 관계라는 건, 좋을 때도 있고 나쁠 때도 있는, 일관성이 없는 관계를 말하죠. 예를 들어, 어떤 사람과는 좋을 때는 엄청 좋다가도, 갑자기 비판적이거나 무시하는 태도를 보일 때가 있잖아요? 그런 관계가 오히려 더 힘들다는 거죠. 음... 왜 그럴까요?

아담 그랜트라는 유명한 작가가 뉴욕 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도 "가장 해로운 관계는 완전히 부정적인 관계가 아니라, 긍정적인 요소와 부정적인 요소가 섞여 있는 관계"라고 했거든요. 생각해 보면, 맞는 말 같아요. 좋을 때는 마음을 열고 가까워졌는데, 나중에 비판이나 경멸을 받으면 상처가 훨씬 더 크게 느껴지잖아요. 아마 여러분도 그런 경험이 한 번쯤은 있을 거예요.

자, 마지막 세 번째 단계는, 이제 평가한 관계들을 "관계 지도" 위에 표시하는 거예요. 간단한 2x2 격자를 하나 만들고요. 가로축은 "관계의 건강" (깎아내림에서 지지로), 세로축은 "관계의 빈도" (드묾에서 매일로) 이렇게 표시하는 거죠. 그리고 각 관계를 해당하는 위치에 점을 찍는 거예요.

그럼 네 개의 구역이 생기겠죠?

* **초록색 구역:** 지지적이고 빈번한 관계. 이 관계들은 당연히 우선순위를 두고 잘 유지해야겠죠?

* **기회 구역:** 지지적이지만 드문 관계. 이 관계들은 소통 빈도를 늘리면 더 좋아질 수 있겠죠?

* **위험 구역:** 양가적이고 빈번한 관계. 이 관계들은 소통 빈도를 줄이거나, 아니면 지지적인 면을 강화하도록 노력해야 해요.

* **빨간색 구역:** 깎아내리고 빈번한 관계. 이 관계들은 최대한 피하거나, 아니면 완전히 끊는 것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어요.

음... 제 경험을 예로 들어볼까요?

초록색 구역에는 다행히도 자주 연락하고 서로 지지해주는 관계들이 꽤 있었어요. 저는 앞으로도 이 관계들을 소중히 여기고, 그들에게 얼마나 고마운지 자주 표현하려고 해요.

기회 구역에는 뜸하지만 정말 좋은 친구나 동료, 가족들이 열 명 넘게 있었어요. 그래서 저는 단체 여행을 가거나, 가끔 안부 문자를 보내는 식으로 소통 빈도를 늘렸죠.

위험 구역에는 양가적인 관계가 세 개 있었어요. 한 명은 가족이었는데, 솔직하게 제 감정을 이야기했더니 관계가 많이 개선돼서 지금은 초록색 구역으로 옮겨가고 있어요. 나머지 두 명과는 연락 빈도를 줄였더니, 위험 구역에서 벗어날 수 있었죠.

빨간색 구역에는 사업 파트너 한 명이 있었는데, 저를 자주 깎아내리는 사람이었어요. 그래서 사업에서 완전히 손을 떼기로 결정했죠. 6개월 정도 걸렸지만, 결국 그 관계를 정리하고 나니 스트레스가 훨씬 줄어들었어요.

자, 이렇게 관계 지도를 완성하고 나면, 여러분 삶에 가장 큰 에너지와 가치, 행복을 가져다주는 관계에 집중할 수 있게 되는 거죠.

아, 그리고 중요한 건, 관계 지도는 고정된 게 아니라는 거예요. 시간이 지나면서 관계는 변하기도 하고, 새로운 사람이 들어오기도 하고, 떠나가는 사람도 생기겠죠. 그러니까 주기적으로 관계 지도를 다시 만들어보는 게 좋아요. 그래야 지금 나에게 가장 필요한 관계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건강한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겠죠?

Go Back Print Chap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