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Content

Calculating...

음…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좀 흥미로운 이야기를 해볼까 해요. 혹시 2020년 초에 미국 보스턴에서 있었던 바이오젠 회의, 기억하시는 분 계실까요? 아, 뭐… 당연히 기억 못 하실 수도 있죠. 전 세계를 휩쓴 코로나 팬데믹 초기에 벌어진 일이었으니까요.

자, 이야기는 이렇습니다. 바이오젠이라는 제약 회사가 연례 리더십 회의를 보스턴의 메리어트 롱 워프 호텔에서 열었어요. 전 세계 각지에서 175명의 임원들이 모였죠. 당시만 해도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경각심이 지금처럼 높지 않았어요. 물론 불안감은 있었지만, 마스크를 쓰거나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는 분위기는 아니었죠. 오랜만에 만난 동료들은 반갑게 악수하고 포옹하고, 서로의 이야기에 귀 기울였겠죠.

근데… 이 회의가 엄청난 코로나 확산의 진원지가 돼버린 겁니다. 회의에 참석했던 사람들 중 상당수가 감기 증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무려 50명 정도가 아프기 시작한 거죠. 회사 측은 발칵 뒤집혔고, 회의 참석자들에게 의사의 진료를 받으라는 이메일을 보냈어요. 그리고 보건 당국에 연락을 취했죠.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어요. 회의 참석자 중 일부가 다른 회의에 참석하거나, 각자의 지역으로 돌아가면서 바이러스가 걷잡을 수 없이 퍼져나간 겁니다. 플로리다, 노스캐롤라이나, 심지어 유럽까지… 결국 이 회의가 30만 명 이상의 감염을 초래했다는 추정이 나왔어요. 세상에…

더 놀라운 건, 이 모든 확산의 시작점이 단 한 명의 '슈퍼 전파자'였다는 가설이에요. 그러니까, 한 사람이 수십만 명을 감염시킨 셈이죠. 도대체 그 한 사람이 뭐길래 그렇게 엄청난 전파력을 가졌던 걸까요? 흠…

초기에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비말 감염, 즉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전파된다고 알려졌잖아요? 그래서 마스크를 쓰고, 거리를 두는 게 중요하다고 했죠. 하지만 에어로졸 과학자들은 다른 주장을 펼쳤어요. 에어로졸이라는 건 공기 중에 떠다니는 아주 작은 입자를 말하는데, 이 과학자들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비말뿐만 아니라 에어로졸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고 본 거죠.

사람들이 말을 하거나 숨을 쉴 때 내뱉는 아주 작은 침방울들이 에어로졸 형태로 공기 중에 떠다니고, 그 안에 바이러스가 들어있다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하지 않아도 충분히 감염될 수 있다는 거예요.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는 더더욱 그렇겠죠. 바이오젠 회의가 열렸던 메리어트 호텔의 넓은 회의실은 환기가 잘 안 되는 공간이었고, 그 안에서 한 사람이 연설을 하면서 수많은 에어로졸을 뿜어냈던 거죠. 어휴…

하지만 여기서 또 다른 질문이 생겨요. 만약 코로나 바이러스가 에어로졸을 통해 쉽게 전파된다면, 왜 바이오젠 회의처럼 대규모 확산 사건이 그렇게 흔하지 않았을까요? 왜 그 회의만 유독 특별했을까요?

그 답은 '슈퍼 전파자'라는 존재에 있어요. 과학자들은 일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많은 바이러스를 내뿜는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지만, 침의 점성, 성대의 구조, 수분 섭취량 등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어요.

어쨌든, 바이오젠 회의의 슈퍼 전파자는 유독 많은 바이러스를 내뿜는 사람이었고, 그 사람이 밀폐된 공간에서 오랜 시간 동안 연설을 하면서 엄청난 양의 바이러스를 공기 중에 퍼뜨렸던 거죠. 거기에 더해서, 회의 참석자들이 마스크를 쓰지 않고, 서로 가깝게 대화하고, 악수나 포옹을 하면서 감염 위험이 더욱 높아졌을 거고요.

이 이야기는 우리에게 여러 가지 시사점을 던져줍니다. 첫째, 감염병 확산의 메커니즘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 작용한다는 거예요. 둘째, 슈퍼 전파자라는 존재는 감염병 확산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거죠. 셋째, 개인의 행동 하나하나가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거예요.

앞으로 우리는 더 많은 정보를 얻게 될 것이고, 슈퍼 전파자를 식별하는 기술도 발전할 거예요. 하지만 그 정보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나이를 먹거나 과체중인 사람들을 차별해야 할까요? 침 검사를 통해 슈퍼 전파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을 가려내야 할까요? 흠… 쉽지 않은 문제죠.

하지만 분명한 건, 미래에 또 다른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우리는 이번 경험을 통해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더욱 현명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거예요. 사회 전체의 안전을 지키면서도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존중하는, 그런 균형 잡힌 해법을 찾아야 하겠죠. 으음… 오늘 이야기는 여기까지입니다. 다음 시간에 또 다른 흥미로운 이야기로 찾아올게요! 안녕!

Go Back Print Chap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