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Content
어휴,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 뭐 얘기해볼까나… 아, 맞다, 예전에 뭐랄까, 그... '고립 효과'에 대해서 잠깐 봤던 게 생각이 났어요. 이게 행동 경제학, 뭐 그런 쪽 얘기인데, 되게 재밌더라고요.
그러니까, 뭐랄까, 사람들이 위험한 결정을 할 때, 변화에 되게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그런 내용이었는데… 음… 이 아이디어가 처음 누구 머리에서 나왔는지는 정확히 기억이 안 난대요. 근데, 뭐 중요한 건 그게 아니겠죠.
암튼, 사람들이 이익을 얻을 때랑 손해를 볼 때랑, 완전히 다르게 행동한다는 거에요. 예를 들어서, 예전에 실험을 했는데, 사람들한테 이런 선택지를 줬대요. "A. 500달러를 확실하게 받는다." 아니면 "B. 50% 확률로 1000달러를 받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A를 선택하겠죠? 왜냐하면, 확실한 게 좋으니까. 근데, 만약에 이걸 손해 보는 상황으로 바꿔보면 어떨까요?
"A. 50% 확률로 1000달러를 잃는다." 아니면 "B. 500달러를 확실하게 잃는다." 이러면, 사람들이 갑자기 B보다는 A를 선택한다는 거에요. 손해를 감수하고, 도박을 하려고 하는 거죠. 에휴… 참 신기하죠?
그러니까, 이익을 얻을 때는 '위험 회피' 성향이 강해지는데, 손해를 볼 때는 '위험 추구' 성향이 강해진다는 거에요. 참... 뭐랄까… 인간 심리가 이렇게 복잡하다니, 신기하기도 하고, 좀 무섭기도 하고, 그래요.
그리고, 사람들이 손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도 설명해 주는데, 그게 진화론적으로 당연하다는 거에요. 왜냐하면, 고통에 민감해야 생존에 유리하니까. 어휴, 당연한 얘기 같지만, 또 곰곰이 생각해보면 맞는 말 같기도 하고… 그렇죠?
또, 이 '고립 효과' 때문에, 사람들이 항상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건 아니라는 거에요. 예를 들어서, 사람들이 복권도 사고, 보험도 드는 이유가, 아주 낮은 확률의 이익이나 손해에도 감정적으로 크게 반응하기 때문이라는 거죠. 흠... 그렇죠. 복권 당첨될 확률 엄청 낮은데도, 괜히 기대하게 되고, 보험도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해서 들어두면 마음이 편하잖아요.
이걸 또 '프레임 효과'라고도 부르는데, 똑같은 사실이라도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서 사람들의 선택이 달라진다는 거에요. 예를 들어서, 어떤 치료법이 있는데, "이 치료법을 받으면 100명 중에 90명이 생존합니다." 라고 말하는 거랑, "이 치료법을 받으면 100명 중에 10명이 사망합니다." 라고 말하는 거랑, 사람들의 반응이 다르다는 거죠. 에휴, 말장난 같지만, 실제로 사람들은 이렇게 똑같은 내용이라도 표현 방식에 따라서 다르게 받아들인다는 거에요.
마지막으로, 아모스랑 다니엘이라는 학자가, '아시아 질병 문제'라는 걸 가지고 실험을 했대요. 뭐, 내용은 대충 이래요. 아시아에 엄청 심각한 질병이 퍼질 건데, 이걸 막기 위해서 두 가지 방법이 있대요.
첫 번째 방법은 "A. 200명을 확실하게 살릴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B. 3분의 1 확률로 600명을 모두 살릴 수 있지만, 3분의 2 확률로 아무도 못 살릴 수 있다." 사람들은 대부분 A를 선택했대요. 확실한 게 좋으니까.
근데, 똑같은 내용을 이렇게 바꿔서 질문했대요. 첫 번째 방법은 "C. 400명이 죽는다." 두 번째 방법은 "D. 3분의 1 확률로 아무도 안 죽지만, 3분의 2 확률로 600명이 모두 죽는다." 이러면, 사람들이 갑자기 D를 선택한다는 거에요. 손해를 감수하고, 도박을 하려고 하는 거죠.
결국, 사람들은 어떤 '사실'을 선택하는 게 아니라, 그 사실에 대한 '설명'을 선택한다는 거에요. 참... 뭐랄까… 인간은 정말 복잡하고, 때로는 비합리적인 존재인 것 같아요.
음, 오늘 얘기는 여기까지 할게요. 생각보다 길어졌네. 어휴, 다음에 또 재밌는 얘기 가지고 올게요! 안녕!